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초창기 챔피언들은 한국어 더빙을 제대로 하지 않아서 대사만 더빙하고 웃음소리, 스킬 기합 보이스, 사망 시 나오는 비명 등은 북미 음성을 그대로 가져와 썼다. 덕분에 갭이 커서 이상하게 들리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정혜원]]이 담당한 미스 포츈 같은 캐릭터들은 평소 목소리와 전혀 다른 굵직한 웃음소리가 압권이다. [[https://youtu.be/Qxo-iOrRXYA|2020 시즌 스킨 & 이벤트]] 영상에서 라이엇이 언급한 가장 인기 많은 챔피언들은 [[럭스(리그 오브 레전드)|럭스]], [[이즈리얼]],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아리]], [[카이사]]라고 한다. 또한 유저수가 많고 스킨이 잘 팔리는 챔피언은 배경으로 지나간 것으로 보아 [[아칼리]], [[야스오]], [[진(리그 오브 레전드)|진]]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언급한 챔피언 모두 스킨 출시텀이 짧은 편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가 한국 게임계에서 워낙 독보적인 입지에 오르다 보니 타 게임, 특히 대전 격투 게임에서도 캐릭터를 챔피언이라 일컫는 경우가 있다. 이전에는 미형이 아니더라도 다양하고 개성적인 챔피언이 자주 출시되었으나, 2017년의 [[자야(리그 오브 레전드)|자야]]&[[라칸(리그 오브 레전드)|라칸]]의 출시를 기점으로 [[오른]]을 제외하면 계속해서 미형의 인간형 챔피언만 주기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https://www.leagueoflegends.com/ko-kr/news/dev/dev-of-men-and-monsters/|개발자 블로그]]에 의하면 사람들에게서 많은 공감과 관심을 받는 캐릭터들이 대부분 인간형이었으며, 세계의 더 다양한 인종과 외형의 챔피언을 디자인하기 위해 2018년을 기점으로 범용 챔피언(미형의 폭넓은 유저층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비율을 70%, 틈새 챔피언(소수의 매니아층에게 어필할 수 있는) 비율을 30%로 확립했다고 한다. 이 이후 출시된 챔피언들 중 객관적으로 미형과 거리가 먼 챔피언들은 섬뜩한 비주얼을 가진 [[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파이크]]나 공허 괴수인 [[벨베스]] 정도뿐이다. 롤 초창기 때 남성 캐릭터들은 갑옷 등의 장비를 단단히 차려 입은 듬직한 마초남들이 대세였고 [[이즈리얼]]이나 [[탈론(리그 오브 레전드)|탈론]] 같은 미형 남성 캐릭터들이 상당히 희귀한 존재 였다. 최근 들어 남성 챔피언들은 모델 같은 몸매에 선이 비교적 가는 이목구비를 가지면서 남성미를 강조하기 위해 상반신을 노출한 상의 탈의 디자인이 많아졌다. 물론 대부분 이유 없이 벗어던진 건 아니고 챔피언 설정상 납득이 가는 디자인이지만[* 라칸은 직업이 춤꾼이고, [[케인(리그 오브 레전드)|케인]]은 다르킨 무기 라아스트의 영향 때문에, [[사일러스]]는 에초에 쫓기는 신세인 탈옥수라 옷이 중요한게 아닐 뿐더러 양팔을 구속한 페트리사이트 사슬로 인해 상의를 입고 싶어도 입을 수가 없고 [[세트(리그 오브 레전드)|세트]]는 직업이 격투 선수 겸 투기장 관리인이라 근육을 드러낸 것으로 보이며 [[아크샨]]은 활동지역이 더운 슈리마이다. 그리고 [[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파이크]], [[요네]], [[비에고]]는 옷을 제대로 입었냐를 논하기 전에 셋 다 정상적인 상태가 [[언데드|아니다.]]] 노출이 심해진 것은 사실이다. 라이엇도 이를 인지하고 있는지 공식 스토리나 챔피언 설정 등에서 자학 개그 소재로 사용하고 있다.[* 예시로 케인은 공식 코믹스에서 [[아칼리]]에게 [[노출증]] 환자 소리를 들었고, 2021 시네마틱 "면죄"에서는 감시자 스킨을 입은 [[그레이브즈]]가 '''"왜 다들 웃통은 벗고 난리야?!"'''라는 대사를 치며, 아크샨은 공식 배경 도입부부터 "'''상반신을 드러낸''' 아크샨"이다.] 여성 챔피언들도 남성 챔피언 만큼은 아니더라도 [[자야(리그 오브 레전드)|자야]], [[카이사]], [[사미라]]처럼 섹시함을 강조하거나 [[릴리아(리그 오브 레전드)|릴리아]], [[세라핀]], [[그웬(리그 오브 레전드)|그웬]]처럼 귀여움을 강조하는 등 미형 챔피언이 나오는 비율이 대폭 늘었다. [[칼리스타]], [[일라오이]], --[[렉사이]]-- 등 개성적인 여성 챔피언이 많이 나오던 시절과는 대조적. 라이엇도 비판을 수용했는지 [[크산테]] 이후 나온 남성 챔피언들은 의복을 제대로 차려입은 모습으로 나오고 있고[* 특히 크산테의 대사 중에선 남성 챔피언 들의 노출도를 돌려까거나 게이는 남자의 노출에 환장한다는 인식을 개선 시키려는 의도의 대사도 포함되어 있다.], [[레나타 글라스크]]나 [[벨베스]], [[나피리]] 등의 개성 있는 여성 챔피언/비 인간형 챔피언 등도 다시 출시하는 추세이다. [[라이엇 게임즈|라이엇]] 측에서 챔피언들의 신장, 체중, 쓰리 사이즈 등과 같은 신체 프로필을 공식적으로 수치화해서 공개한 적은 없다. 인터넷상에서 떠도는 챔피언들의 신체 프로필 자료들은 유저들이 배경, 일러스트, 시네마틱 영상 등을 토대로 추정한 수치일 뿐 공식 설정은 아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아케인(애니메이션)/등장인물| 아케인의 등장인물]]들은 공식 신장이 맞다.[[https://twitter.com/arcaneshow/status/1555237129193771008|#]] 챔피언 수가 굉장히 많다 보니 갈 수록 밸런스 조절에 문제를 겪고 있다. 신규 챔피언이 나올 때마다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흐웨이]], [[아펠리오스]] 등], 대처가 불가능하거나[* [[아칼리]], [[제리(리그 오브 레전드)|제리]] 등], 이전 챔피언들을 베껴서 더 좋게 내놓는 경우[* [[카밀]], [[세라핀]], [[아크샨]] 등이 있다.]가 많아 스킬셋에 대한 논란과 비판도 끊이지 않고 있다. 다만 대회와 솔랭간 격차가 극심하고 리워크를 자주 받아 밸런스가 들쑥날쑥 하거나 높은 조작 난이도나 복잡한 설명으로 편의성이 떨어지는 2022년 챔피언들[* 제리, 레나타, 벨베스, 닐라, 크산테. 이 중에서 레나타가 유일하게 비판을 받지 않는 케이스고 나머진 대회로 인한 극심한 밸런스 차이와 복잡한 계수 툴팁 때문에 한동안 말이 오갔다.]과 달리 2023년부터는 직관성과 개성에 집중하여 숙달이 쉽거나 조작 난이도가 낮은 챔피언 위주로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2023년의 마지막은 [[흐웨이]]가 화려하게 장식했다-- 적어도 한 때 오버 밸런스로 모든 챔피언을 때려잡던 초창기 나피리를 제외하면 밸런스 적으로 불쾌하다는 얘기는 2023년 이후로 다소 줄어든 편이다.[* 2023년 이후로 출시된 챔피언들도 수차례 밸런스 패치를 거쳐가며 리워크 급 패치를 받은 적이 없는 것은 아니나 제리와 크산테는 리워크를 받은지 1년이 되감에도 여전히 패치 대상이 될 때마다 성능이 곤두박질 수준으로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을 고려하면 훨씬 나아진 편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